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낚시 관련 법규 및 규제 최신 정보: 벌금 & 과태료 피하는 방법

by 앤트미디어 2025. 3. 29.
반응형

낚시는 많은 사람들이 즐기는 국민 취미지만, 자연 생태계 보전과 안전을 위한 법적 규제가 존재합니다. 이를 모르고 위반할 경우 벌금 또는 과태료 부과는 물론, 형사처벌까지 받을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이 글에서는 2024년 기준 낚시 관련 주요 법규, 위반 시 벌금 기준, 안전하게 낚시를 즐기기 위한 팁까지 정리해드립니다.

1. 낚시 금지구역과 금지행위 – 이곳에서 낚시하면 불법입니다

① 낚시 금지 장소 (2024년 기준 주요 예시)

  • 국립공원, 천연기념물 보호구역, 습지보호구역
  • 상수원 보호구역 및 하천법에 따른 특정 지역
  • 군사시설 인근 해안, 항만시설 구역 등
  • 지자체 조례로 지정된 금지 구간

② 금지 낚시 행위

  • 전기충격기, 폭약, 독극물 사용 (형사처벌 대상)
  • 불법 어구 사용 (쌍걸이낚시, 트롤형 루어 등)
  • 불법 통발, 야간 투망 등 불법 어획 행위
  • 금어기·금지체장 어종의 무단 포획

벌칙: 최대 3년 이하 징역 또는 3천만 원 이하 벌금 / 금지구역 낚시 시 과태료 100만 원 이하

2. 금어기·금지체장 위반 사례 – 무심코 잡았다가 벌금 낼 수도

어종 보호를 위한 금어기와 금지체장 위반은 낚시인들이 자주 실수하는 부분입니다.

어종 금어기 금지체장
광어 6.21~7.20 35cm 미만
감성돔 5.1~6.10 25cm 미만
우럭 지역별 상이 23cm 미만
참돔 6.1~7.10 24cm 미만
낙지 5.16~7.15 지역별 포획량 제한 존재

벌칙: 과태료 최대 300만 원 / 반복 시 형사처벌 및 장비 압수

정보 확인: 국립수산과학원 홈페이지 또는 각 지역 수산자원관리센터, 지자체 공지사항 참고

Tip: 애매한 크기의 어종은 즉시 방류하는 것이 가장 안전합니다.

3. 안전과 쓰레기 관련 규정 – 이거 안 지키면 벌금입니다

  • 쓰레기 무단 투기: 낚시 중 포장지, 미끼통, 라인 조각 등 투기 시 과태료 최대 50만 원
  • 구명조끼 미착용: 선상낚시 시 의무 착용 / 미착용 시 과태료 100만 원 이하 (해사안전법)
  • 음주 낚시: 선상 탑승 중 음주는 안전사고 시 불리하게 작용 / 선장이 탑승 거부 가능
  • 무단 출입: 군부대 인근 방파제, 통제 구간 출입 시 범칙금 대상

결론: 요약 및 Call to Action

낚시는 누구나 즐길 수 있는 취미지만, 그만큼 지켜야 할 법과 규정이 명확히 존재합니다. 금지구역, 금어기, 금지체장, 안전장비 착용, 쓰레기 투기 금지 등 기본만 숙지해도 불필요한 과태료나 벌금을 피할 수 있습니다. 나와 자연, 그리고 다른 낚시인을 위해 낚시의 ‘룰’을 지켜가며 건강한 낚시 문화를 함께 만들어가세요!

반응형